맨위로가기

유니언 신학교 (뉴욕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니언 신학교 (뉴욕시)는 1836년에 설립된 미국의 신학 대학으로, 자유주의 기독교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였다. 1891년 성경의 축자적 영감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면서 교단 감독에서 벗어났으며, 1895년에는 동문들이 뉴욕시에 유니언 정착촌을 설립하여 지역 사회 봉사 활동을 펼쳤다. 라인홀드 니부어와 폴 틸리히를 통해 전후기 자유주의 개신교와 신정통 개신교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코넬 웨스트 등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2008년에는 최초의 여성 회장이 취임했으며, 2014년에는 화석 연료 투자 철회 운동에 동참했다. 현재는 컬럼비아 대학교와 제휴 관계를 맺고 있으며, 북미에서 가장 큰 신학 도서관 중 하나인 버크 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6년 개교 - 에모리 대학교
    에모리 대학교는 1836년 조지아주 옥스퍼드에 설립되어 애틀랜타로 캠퍼스를 이전하고 코카콜라 창립자의 기부를 통해 재설립된 사립 대학으로, 다양한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제공하며, U.S. News & World Report에서 미국 내 24위, 세계 72위로 평가받았다.
  • 1836년 개교 - 런던 대학교
    런던 대학교는 1836년에 설립된 연합 대학교로서 런던에 위치한 47개의 대학 및 연구기관으로 구성되어 12만 명이 넘는 학생들이 재학 중이며, 다양한 학문 분야를 포괄하고 각 구성 대학은 독자적인 학위 수여 권한을 가지면서도 긴밀히 협력하며 영국 고등교육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뉴욕주의 기독교 - 머시 대학교
    1950년 자비의 수녀회에서 설립되어 뉴욕주에 위치한 사립 머시 대학교는 다양한 분야의 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사이버 방어 교육 분야의 국가 우수 학술 센터로 지정되는 등, 여러 캠퍼스를 두고 교육 영역을 확장하며 명성을 쌓고 있다.
  • 뉴욕주의 기독교 - 바드 칼리지
    바드 칼리지는 1900년 성공회 대학교로 설립되어 1934년 독립한 사립대학교로, 2차 세계 대전 당시 난민 지식인들의 피난처를 제공하고 진보적인 교육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프로그램과 연구소, OSUN 참여를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가진다.
유니언 신학교 (뉴욕시) - [대학]에 관한 문서
개요
유니언 신학대학원 뉴욕 인장
유니언 신학대학원 인장
라틴어 명칭Seminarium Theologicum Unioniense Novi Eboraci
표어Unitas, Veritas, Caritas (라틴어)
표어 (번역)통일, 진리, 사랑
종류사립 신학대학원
설립일1836년
위치뉴욕 주 뉴욕
국가미국
행정
총장세린 존스
재정
기부금1억 1260만 달러 (2019년)
통계
교수진38명
학생 수210명
기타
웹사이트유니언 신학대학원 공식 웹사이트
국가 사적 등록 번호80002725
뉴욕시 랜드마크 지정 번호0595 (브라운 기념 타워, 제임스 타워, 제임스 기념 예배당)
역사적 정보
건축가앨런 & 콜린스
건축 양식후기 고딕 리바이벌, 칼리지 고딕
추가된 날짜 (국가 사적 등록)1980년 4월 23일
면적2.3 에이커

2. 역사

라인홀드 니부어와 폴 틸리히는 유니언 신학교를 전후 자유주의 개신교와 신정통주의 개신교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니부어는 1929년에, 틸리히는 1933년에 유니언 신학교에 합류했다. 코넬 웨스트는 1977년에 유니언 신학교에서 학문 경력을 시작했다. 1960년대 이후 신정통주의가 쇠퇴하고 자유주의가 보수주의에 밀려 명성이 떨어지면서, 유니언 신학교는 재정적 어려움과 학생 수 감소로 크게 위축되었다. 결국 학교는 건물 일부를 컬럼비아 대학교에 임대하고 버크 도서관에 대한 소유권과 책임을 컬럼비아 대학교에 이전하는 데 동의했다. 이러한 계약은 도서관 비용 증가와 상당한 캠퍼스 수리 필요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던 학교 재정을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2008년 7월 1일, 신학자 서린 존스(Serene Jones)가 유니언 신학교 역사상 최초의 여성 회장이 되었다.[13]

2. 1. 초기 역사 (1836년 ~ 19세기 후반)

왼쪽


유니언 신학교는 '''1836년'''에 설립되었다. 19세기 후반에 이곳은 미국 자유 기독교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1891년에 성경 연구 의장으로 임명된 찰스 오거스터스 브리그스(Charles A. Briggs)는 취임 연설에서 성경의 축자적 영감에 의문을 제기했다.[9] 미국 장로교 총회가 브릭스의 임명을 거부하고 2년 후 결국 브리그스를 이단으로 몰아냈을 때, 유니언 신학교는 교단의 감독에서 벗어났다.[10]



1895년, 유니언 신학교 동문회(Union Theological Seminary Alumni Club) 회원들은 뉴욕시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촌 중 하나인 유니언 정착 협회(Union Settlement Association)를 설립했다. 런던의 토인비 홀(Toynbee Hall)을 방문하고 시카고의 헐 하우스(Hull House) 사례에서 영감을 얻은 동문들은 이스트 96번가와 110번가로 둘러싸인 맨해튼 지역(동쪽과 서쪽은 이스트강과 센트럴파크)에 정착촌을 세웠다.

유니언 정착 협회(Union Settlement)는 여전히 존재하며 East Harlem의 이민자와 저소득층 주민을 지원하기 위한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East Harlem의 가장 큰 사회 복지 기관 중 하나인 유니언 정착 협회는 유아 교육, 청소년 개발, 노인 서비스, 직업 훈련, 예술, 성인 교육, 영양, 상담, 농산물 직거래 장터, 지역사회 발전, 동네 문화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East Harlem 전역의 17개 위치에서 매년 13,000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다가가고 있다.

2. 2. 유니언 정착촌 (1895년)

1895년, 유니언 신학교 동문회 회원들은 뉴욕시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촌 중 하나인 유니온 정착 협회(Union Settlement Association)를 설립했다. 토인비 홀(Toynbee Hall)(런던)과 헐 하우스(Hull House)(시카고)의 사례에서 영감을 받은 동문들은 이스트 강(East River)과 센트럴 파크(Central Park) 사이, 이스트 96번가와 110번가로 둘러싸인 맨해튼 지역에 정착촌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이스트 할렘(East Harlem)으로 알려진 이 지역은 새로운 다세대 주택으로 가득했지만 시민 서비스는 부족했다. 정착촌 운동은 활동가들이 지역 사회에 "정착"하여 주민들의 문제를 직접 배우도록 하는 것이었다. 유니언 신학교(1892~1930) 신학 교수이자 유니온 정착 협회(1915~1919) 회장이었던 윌리엄 아담스 브라운(William Adams Brown)은 "우리는 초기 정착민으로서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하고 그 발전에 영향을 미칠 기회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라고 썼다.[12]

2. 3. 20세기 ~ 현재



유니언 신학교는 1836년에 설립되었다. 19세기 후반에 이곳은 미국 자유 기독교의 주요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1891년에 성경 연구 의장으로 임명된 찰스 A. 브릭스(Charles A. Briggs)는 취임 연설에서 성경의 축자적 영감에 의문을 제기했다. 미국 장로교 총회가 브릭스의 임명을 거부하고 2년 후 결국 브릭스를 이단으로 몰아냈을 때, 유니언 신학교는 교단의 감독에서 벗어났다.[1]

1895년, 유니언 신학교 동문회(Union Theological Seminary Alumni Club) 회원들은 뉴욕시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촌 중 하나인 유니언 정착촌 협회(Union Settlement Association)를 설립했다. 런던의 토인비 홀을 방문하고 시카고의 헐 하우스(Hull House) 사례에서 영감을 얻은 동문들은 이스트 96번가와 110번가 사이, 이스트강과 센트럴파크 사이에 위치한 맨해튼 지역에 정착촌을 만들었다.

유니언 정착촌(Union Settlement)은 여전히 존재하며 이스트 Harlem의 이민자와 저소득층 주민을 지원하기 위한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스트 할렘의 가장 큰 사회 복지 기관 중 하나인 유니언 정착촌은 유아 교육, 청소년 개발, 노인 서비스, 직업 훈련, 예술, 성인 교육, 영양을 포함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이스트 할렘 전역의 17개 위치에서 매년 13,000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다가간다. 상담, 농산물 직거래 장터, 지역사회 발전, 동네 문화 행사 등도 진행한다.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와 폴 틸리히(Paul Tillich)는 유니언 신학교를 전후 자유주의 개신교와 신정통주의 개신교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니부어는 1929년에, 틸리히는 1933년에 유니언 신학교에 합류했다. 저명한 대중 지식인 코넬 웨스트(Cornel West)는 1977년에 유니언 신학교에서 유망한 학문 경력을 시작했다. 1960년대 이후 신정통주의가 쇠퇴하고 자유주의가 보수주의에 밀려 명성이 떨어지면서, 유니언 신학교는 재정적 어려움과 학생 수 감소로 크게 위축되었다. 결국 학교는 건물 일부를 컬럼비아 대학교에 임대하고 버크 도서관에 대한 소유권과 책임을 컬럼비아 대학교에 이전하는 데 동의했다. 이러한 계약은 도서관 비용 증가와 상당한 캠퍼스 수리 필요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던 학교 재정을 안정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2008년 7월 1일, 신학자 서린 존스(Serene Jones)가 조셉 C. 허프 주니어(Joseph C. Hough Jr.)의 뒤를 이어 유니언 신학교 역사상 최초의 여성 회장이 되었다.[13]

2014년 6월 10일, 존스는 산업이 환경에 가하는 피해에 항의하여 유니언 신학교가 화석 연료 산업 투자 철회 운동에 참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유니언 신학교의 1.08억달러 기금에는 더 이상 화석 연료 투자가 포함되지 않는다.[14] 2024년 5월 9일, 유니언 신학교 이사회는 "팔레스타인 전쟁으로 이익을 얻는 기업"으로부터의 투자 철회를 승인하고 기업 책임에 관한 종교 간 센터(Interfaith Center on Corporate Responsibility)에 합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5]

2020년대 초, 클레어몬트 애비뉴 100번지에 위치한 41층 주거용 콘도미니엄인 클레어몬트 홀(Claremont Hall) 건설의 일환으로 유니언 신학교에 강의실과 교수 공간이 추가되었다.[16] 유니언 신학교는 클레어몬트 홀 아파트 27채를 소유하고 있다.[17]

컬럼비아 대학교와 행정적으로 독립되어 있지만, 유니언 신학교는 컬럼비아 대학교 상원(University Senate)에서 한 명의 투표권을 가진 교수와 한 명의 비투표권을 가진 학생 참관인을 통해 협력하고 있다.[18]

3. 캠퍼스

브라운 기념탑


브로드웨이에 있는 유니온 신학교 입구


유니언 신학교(UTS) 캠퍼스는 맨해튼의 모닝사이드 하이츠 지역에 있으며, 클레어몬트 애비뉴, 브로드웨이, 서 120번가와 122번가에 둘러싸여 있다. 1910년 알렌 앤 콜렌스(Allen & Collens)가 영국 고딕 부흥 양식으로 설계했으며, 더럼 대성당의 탑을 본떠 지은 탑이 있다.

이 건물은 1980년 4월 23일 미국 국립 사적지 목록에 등재되었고, 일부는 1965년 뉴욕시 지정 랜드마크로 지정되었다.[3] 캠퍼스 일부는 현재 컬럼비아 대학교에 장기 임대되어 있다.

3. 1. 컬럼비아 대학교와의 관계

캠퍼스 모습


유니언 신학교 캠퍼스는 뉴욕시 맨해튼Morningside Heights 인근에 있으며, Claremont Avenue, Broadway 및 West 120th, 122nd Streets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1910년에 완성된 건축가 Allen & Collens의 벽돌과 석회암 영국 고딕 양식 부흥 건축물에는 더럼 대성당(Durham Cathedral)의 횡단 타워의 특징을 적용한 타워가 포함되어 있다. 사범대학, 바너드 대학, 미국 유대인 신학대학원, 맨해튼 음악대학과 인접한 유니언 신학교는 이 모든 학교와 교차 등록 및 도서관 이용 계약을 맺고 있다.

이 건물은 1980년 4월 23일에 국립 사적지에 추가되었으며, 일부는 1965년에 뉴욕시 지정 랜드마크가 되었다. 컬럼비아 대학을 찾는 많은 방문객들이 학교 건물의 역사성에 매료되어 가장 많이 사진을 찍고 가는 장소 중 하나이며, 컬럼비아 대학 내부에 위치한 'Joe Coffee Company' 매장에서 가장 아름답게 학교를 바라볼 수 있다. 대학교 좌우로 뉴욕 맨해튼에서 규모가 크고 유명한 Riverside Park와 Morningside Park가 위치해 있어 전경이 매우 아름답다.

4. 도서관

왼쪽


'''북미에서 가장 큰 신학 도서관''' 중 하나인 유니언 신학교의 Burke 도서관에는 700,000권 이상의 항목이 소장되어 있다. Burke 도서관의 소장품에는 서기 20년의 그리스 인구 조사 기록, 성 보니페이스의 생애에 대한 희귀한 12세기 사본, 1818년 필라델피아에서 출판된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찬송가 중 하나를 포함한 광범위한 특별 컬렉션이 포함된다. 버크 도서관은 또한 신학 장학금 여성 기록 보관소와 선교 연구 도서관 기록 보관소를 포함하여 세계적으로 유명한 여러 기록 보관소 컬렉션을 유지하고 있다.[1]

2004년에 Union의 Burke 도서관은 1,400만 권 이상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는 Columbia University Libraries 시스템에 완전히 통합되었다. 이 도서관은 1976년부터 1982년까지 신학교 이사회 의장을 역임한 도서관의 관대한 후원자인 월터 버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5. 저명한 교수진 및 동문

유니언 신학교는 1836년 설립 이후 수많은 저명한 교수진과 동문들을 배출했다.

폴 틸리히는 독일계 미국인 신학자이자 기독교 실존주의 철학자로, 나치 정권에 의해 독일에서 추방된 후 유니언 신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19] 디트리히 본회퍼는 독일 루터교 신학자이자 나치 저항 운동가로, 1930년에 유니언 신학교에서 대학원 연구를 했고, 이후 라인홀드 니부어의 지도교수로 재직했다.[20] 그는 나중에 나치에 저항하기 위해 독일로 돌아갔다가 1945년 처형되었다.

라인홀드 니부어는 미국의 저명한 신학자로, 1929년부터 유니언 신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기독교 사회 윤리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19] 그의 동생 리처드 니부어 역시 저명한 기독교 윤리학자로, ''인간의 본성과 운명''(1941)과 ''평온을 비는 기도''(Serenity Prayer)를 저술했다.

코넬 웨스트는 미국의 철학자, 신학 교수, 사회 운동가, 배우, 정치인으로, 2012년 유니언 신학교 교수진에 합류했다가 2021년 다시 합류했다.[21] 흑인 신학의 창시자인 제임스 콘(James Cone)은 1970년부터 유니언 신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하여 2018년 사망할 때까지 체계 신학 교수로 재직했다.

이 외에도 현경과 같은 한국 출신 신학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저명한 인물들이 유니언 신학교를 거쳐 갔다.

5. 1. 교수진 (일부)

코넬 웨스트(Cornel West)


제임스 콘(James Cone)

  • 폴 틸리히: 독일계 미국인 신학자이자 기독교 실존주의 철학자[23]
  • 디트리히 본회퍼: 독일 루터교 신학자이자 나치 저항가, 1930년 UTS에서 대학원 연구와 라인홀드 니부어 지도교수로 재직
  • 라인홀드 니부어: 신학자, 신학 교수
  • 코넬 웨스트: 철학자, 신학 교수, 사회 운동가, 배우, 정치인
  • 폴 니터(Paul F. Knitter): 신학자, 신학 교수
  • 마커스 보그: 성서 학자 및 작가; 오레곤주립대학교 종교문화학과 전 훈데레 석좌교수
  • 칼 로저스: 인본주의 심리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이며, 특히 인간 중심 심리 치료로 잘 알려진 미국의 심리학자
  • 프랭클린 I. 갬웰(Franklin I. Gamwell): 시카고 대학교 신학교의 종교 윤리, 종교 철학, 신학 교수 Shailer Mathews
  • 라파엘 워녹 (Raphael Warnock): 조지아 주 상원의원(2021-)
  • George R. Lunn: 뉴욕 스키넥터디 시장 , 미국 하원의원
  • Lisa Oz: 작가이자 라디오 및 텔레비전 성격
  • 미셸 알렉산더(Michelle Alexander): 작가, 민권 옹호자, ''The New Jim Crow: Mass Incarceration in the Age of Colorblindness'' 의 저자,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의 오피니언 칼럼니스트.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객원교수
  • 제임스 콘(James Cone) (1936-2018): 흑인 신학의 창시자, 그는 죽을 때까지 Charles Augustus Briggs 저명한 조직신학 교수[22]
  • Henry FC Nichols: 위스콘신 주의회 의원
  • David P. Gushee: Mercer University의 기독교 윤리학과 교수. 9권의 책과 70개 이상의 기사를 저술한 저자
  • Walter Brueggemann: William Marcellus McPheeters 구약학 교수
  • 현경: 대한민국 출신 신학자, 신학 교수
  • John Batchelor  – 라디오 뉴스 쇼 작가 및 진행자
  • 메리 C. 보이스(Mary C. Boys) – 실천신학 스키너 맥앨핀 교수
  • 데이비드 M. 카(David M. Carr) – 구약학 교수; 신옥스퍼드 주석 성경(New Oxford Annotated Bible)(신개정표준역(New Revised Standard Version))의 창세기에 기여
  • 휴언 캐머런(Euan Cameron) – 3세 헨리 루스 종교개혁 교회사 교수
  • 앨런 쿠퍼(Alan Cooper) – 1998년 성서학 교수로 임명되어 유니온 신학교와 미국 유대 신학교 양쪽에서 공동 교수직을 맡은 최초의 인물이 됨. 그의 이중 임명은 두 신학교 간의 유대를 강화하는 중요한 발걸음으로 여겨짐.
  • 파멜라 쿠퍼-화이트(Pamela Cooper-White) – 심리학 및 종교 크리스티안 브룩스 존슨 교수
  • 켈리 브라운 더글러스(Kelly Brown Douglas) – 유니온 신학교 감독 교회 신학교 학장이자 워싱턴 국립 대성당(Washington National Cathedral)의 대주교 신학자
  • 게리 도리언(Gary Dorrien) – 미국의 사회 윤리학자이자 신학자(Theologian), 라인홀드 니부어 사회윤리학 교수
  • 로저 헤이트(Roger Haight) – 방문 신학 교수
  • 에스터 J. 하모리(Esther J. Hamori) – 히브리어 성서 교수
  • 브리기테 칼(Brigitte Kahl) – 신약학 교수
  • 충현경 – 에큐메니칼 신학 조교수
  • 알리우 C. 니앙(Aliou C. Niang) – 신약학 조교수
  • 제루샤 T. 로즈(Jerusha T. Rhodes) – 이슬람 및 종교 간 교류 조교수
  • 코센 그렉 스나이더(Kosen Greg Snyder) – 불교학 수석 디렉터 겸 조교수
  • 존 J. 타타마닐(John J. Thatamanil) – 신학 및 세계 종교 교수
  • 코넬 웨스트 – 종교 철학 및 기독교 실천 교수
  • 안드레아 C. 화이트(Andrea C. White) – 신학 및 문화 조교수
  • 제이슨 라이트(Jason Wright) – 이사회 이사[22]
  • 찰스 어거스터스 브리그스(Charles Augustus Briggs) – 히브리어 및 관련 언어 교수(1874–1891), 성서 신학 교수(1891–1904); 초기 근대주의 운동의 중요한 지도자 중 한 명
  • 레이먼드 이 브라운(Raymond E. Brown) (1928–1998) – 신약학 교수(1971–1990), 교황청 성서위원회(Pontifical Bible Commission) 위원, 종신 재직권을 얻은 최초의 가톨릭 신학자[23]

  • 헨리 슬로운 코핀(Henry Sloane Coffin) – 유니온 신학교 총장이자 저명한 자유주의 신학자. 1900년 유니온 신학교에서 신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16년 유니온 신학교 총장직 제안을 거절했고, 1926년 두 번째 제안을 수락하여 1945년까지 재직했다.
  • 제임스 할 콘(James Hal Cone) (1936–2018) – 흑인 신학의 창시자 중 한 명. 사망할 때까지 찰스 어거스터스 브리그스 체계 신학 석좌교수를 역임했다.
  • W. D. 데이비스(W. D. Davies) (1911–2001) – 웨일스 출신, 에드워드 로빈슨 성서 신학 교수, 저명한 신약학자이자 회중교회 목사.
  • 해리슨 S. 엘리엇(Harrison S. Elliot) (1882–1951) – 저술가이자 YMCA(Y.M.C.A.), 종교 교육 협회, 유니온 신학교의 지도자.
  • 제임스 A. 포브스(James A. Forbes) – 조 R. 엥글 설교학 교수직을 역임한 후 리버사이드 교회(Riverside Church) 담임 목사가 되었으며, 이후에도 겸임 교수로 계속 근무했다.
  • 해리 에머슨 포스딕(Harry Emerson Fosdick) – 리버사이드 교회(Riverside Church) 초대 목사이자 설교학 교수
  • 베벌리 윌딩 해리슨(Beverly Wildung Harrison) – 기독교 여성주의 윤리학자. 유니온 신학교에서 34년 동안 강의했으며 캐롤린 윌리엄스 비어드 윤리학 교수였다. 북미 기독교 윤리학회 최초의 여성 회장이었다.
  • 폴 F. 니터(Paul F. Knitter) – 폴 틸리히 신학 교수
  • 존 맥쿼리(John Macquarrie) – 체계 신학 교수(1962–70), 이후 옥스퍼드 대학교(University of Oxford)의 레이디 마가렛 신학 교수이자 크라이스트 처치 대학(Christ Church, Oxford)(1970–1986)의 대성당 참사.
  • 존 앤서니 맥거킨(John Anthony McGuckin) – 닐센 초기 및 비잔틴 교회사 교수, 소피아 연구소 소장, 정교회 사제
  • 크리스토퍼 모스(Christopher Morse) – 디트리히 본회퍼 신학 및 윤리학 교수
  • J. 브룩 모즐리(J. Brooke Mosley) – 총장
  • 라인홀트 니부어 (1892–1971) – 응용 기독교 교수, 기독교 사회 윤리학자, 영향력 있는 저서 『인간의 본성과 운명(The Nature and Destiny of Man)』(1941)과 평정의 기도(Serenity Prayer) (12단계 프로그램(Twelve-step program)을 통해 널리 알려짐)의 저자
  • 피터 C. 판(Peter C. Phan) – 조지타운 대학교(Georgetown University)의 엘라쿠리아 가톨릭 사회 사상 석좌교수 초대 교수[24]

  • 에드워드 로빈슨(Edward Robinson (scholar))] – 성서학자이자 예루살렘의

    5. 2. 동문 (일부)


    • 폴 틸리히: 독일계 미국인 신학자이자 기독교 실존주의 철학자[25]
    • 디트리히 본회퍼: 독일 루터교 신학자이자 나치 저항가, 1930년 UTS에서 라인홀드 니부어 지도교수로 대학원 연구를 했다.[25]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 리처드 니부어: 기독교 사회 윤리학자, ''The Nature and Destiny of Man''(1941) 및 ''Serenity Prayer''(12단계 프로그램을 통해 대중화됨)의 저자[25]
    • 라인홀드 니부어: 신학자, 신학 교수[25]
    • 코넬 웨스트: 철학자, 신학 교수, 사회 운동가, 배우, 정치인[25]
    • 폴 니터(Paul F. Knitter): 신학자, 신학 교수[25]
    • 마커스 보그: 성서 학자 및 작가; 오리건 주립대학교 종교문화학과 전 훈데레 석좌교수[25]
    • 칼 로저스: 인본주의 심리학의 창시자 중 한 명이며, 특히 인간 중심 심리 치료로 잘 알려진 미국의 심리학자[25]
    • 프랭클린 I. 갬웰(Franklin I. Gamwell): 시카고 대학교 신학교의 종교 윤리, 종교 철학, 신학 교수 Shailer Mathews[25]
    • 라파엘 워녹 (Raphael Warnock): 조지아 주 상원의원(2021-)[31]

    래파엘 워녹(Raphael Warnock)

    • George R. Lunn: 뉴욕 주 스키넥터디 시장, 미국 하원의원[25]
    • Lisa Oz: 작가이자 라디오 및 텔레비전 진행자[25]
    • Michelle Alexander: 작가, 민권 옹호자, ''The New Jim Crow: Mass Incarceration in the Age of Colorblindness''의 저자, 뉴욕 타임스의 오피니언 칼럼니스트. 2016년부터 2021년까지 객원교수[25]
    • James Cone (1936-2018): 흑인 신학의 창시자, 그는 죽을 때까지 Charles Augustus Briggs 저명한 조직신학 교수[25]
    • Henry FC Nichols: 위스콘신주 의회 의원[25]
    • David P. Gushee: 머서 대학교의 기독교 윤리학과 교수. 9권의 책과 70개 이상의 기사를 저술한 저자[30]
    • Walter Brueggemann: William Marcellus McPheeters 구약학 교수[25]
    • 현경: 대한민국 출신 신학자, 신학 교수[25]
    • John Batchelor: 라디오 뉴스 쇼 작가 및 진행자[25]
    • 올리버 크레인(Oliver Crane)

    올리버 크레인(Oliver Crane)

    • 데이비드 델린저(David Dellinger)

    데이비드 델린저(David Dellinger)

    • 콘래드 틸라드(Conrad Tillard)

    콘래드 틸라드(Conrad Tillard)

    • 루베임 알베스(Rubem Alves): 브라질 신학자이자 작가[25]
    • 윌리엄 스콧 에먼트(William Scott Ament) (신학 학사, 1877): 1877년부터 1909년까지 중국에서 활동한 논란이 많은 미국 선교사[25]
    • 존 배첼러(John Batchelor): 라디오 뉴스 프로그램 작가이자 진행자[25]
    • 프레데릭 메이어 버드(Frederic Mayer Bird) (1860년 졸업): 성직자, 교육자, 찬송가 작곡가[25]
    • J. 실리 비클러(J. Seelye Bixler): 콜비 대학교(Colby College) 제16대 총장[25]
    • 안톤 보이젠(Anton Boisen): 임상 목회 교육(CPE) 운동의 창시자[25]
    • 말콤 보이드(Malcolm Boyd): 성공회 사제이자 작가. 1977년 동성애 사실을 공개한 가장 저명한 동성애 성직자 중 한 명. 1956년과 1957년 2년 동안 유니온 신학교에서 대학원 과정을 수행하여 그의 첫 번째 책인 ''소통의 위기(Crisis in Communication)''를 집필. 1960년대 시민권 운동과 반전 운동에 참여.[25]
    • 프레더릭 뷰크너(Frederick Buechner): 작가, 소설가, 시인, 수필가, 신학자, 안수받은 장로교 목사. 1982년 자서전 ''거룩한 여정(The Sacred Journey)''에서 유니온에서 보낸 시간을 자세히 묘사. 2008년 유니온은 신학교의 학문적 폭넓음, 다양성, 포용성을 구현한 동문에게 수여하는 유니타스(Unitas) 우수 동문상으로 뷰크너를 기림.[25]
    • 데이비드 버드빌(David Budbill): 시인[25]
    • 에드윈 오트웨이 번햄(Edwin Otway Burnham) (신학 학사, 1855): 수색대 사격을 잘하는 시옥 인디언 지역의 회중교 목사. 다람쥐를 짖거나 도끼질을 하거나 복음을 전하는 것을 동일한 열정과 효율성으로 해낼 수 있었다.[25]
    • 캘빈 오티스 버츠 3세(Calvin Otis Butts III): 뉴욕시 역사적인 아비시니아 침례교회(Abyssinian Baptist Church)의 수석 목사[25]
    • W. 스털링 캐리(W. Sterling Cary) (신학 학사, 1952): 1972년부터 1975년까지 미국 교회협의회(National Council of Churches) 회장[26][27]
    • 글래드윈 M. 차일즈(Gladwyn M. Childs): 인류학자이자 선교사[25]
    • 그리고르 실카(Grigor Cilka): 목사, 선교사, 교사이자 알바니아(Albania) 코르처(Korçë)의 최초 프로테스탄트 교구 설립자[25]
    • 조셉 갤럽 코크란(Joseph Gallup Cochran) (1847년 졸업): 목사, 장로교 선교사, 교사[28]
    • 넬슨 크루크섕크(Nelson Cruikshank) (신학 석사, 1929): 노동조합 활동가이자 전략가, 메디케어 제정에 기여.[25]
    • 클라우디아 델라 크루즈(Claudia De la Cruz) (신학 석사, 2007):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지역 사회 운동가[25]
    • 린 드 실바(Lynn de Silva) (신학 석사): 스리랑카(Sri Lanka)의 신학자, 에큐메니칼 연구 및 대화 연구소(Ecumenical Institute for Study and Dialogue) 전 소장, 감리교 목사, 불교-기독교 대화를 증진하는 선구자[25]
    • 존 R. 에버렛(John R. Everett) (신학 학사, 1944): 홀린스 대학교(Hollins College) 총장, 뉴욕 시립대학교 시스템 초대 총장, 뉴스쿨(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총장[25]
    • 헬렌 플랜더스 던바(Helen Flanders Dunbar) (신학 학사, 1927): 미국의 초기 정신신체의학자[25]
    • 프랜시스 L. 개럿(Francis L. Garrett): 미국 해군(U.S. Navy) 군목장[25]
    • 베벌리 로버츠 가벤타(Beverly Roberts Gaventa): 신약(New Testament) 주해학자(exegete), 신학자, ''로마서에 있을 때(When in Romans)''의 저자[29]
    • J. T. 굴릭(J. T. Gulick): 진화 생물학자[25]
    • 수잔 E. 고프(Susan E. Goff): 버지니아 주교교구(Episcopal Diocese of Virginia) 보좌 주교[25]
    • 더글라스 존 홀(Douglas John Hall): 맥길 대학교(McGill University) 명예 교수이자 십자가 신학자[25]
    • 마크 한슨(Mark Hanson): 전 미국 루터교회(Evangelical Lutheran Church in America) 대주교[25]
    • 에들러 가닛 호킨스(Edler Garnet Hawkins): 전 미국합중국연합장로교회(United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총회장[25]
    • 카터 헤이워드(Carter Heyward): 레즈비언 페미니스트 신학자이자 성공회 사제[25]
    • 리처드 홀로웨이(Richard Holloway): 스코틀랜드 작가이자 방송인, 전 에든버러 주교[25]
    • 드와이트 홉킨스(Dwight Hopkins): 시카고 대학교 신학교의 신학 교수[25]
    • 마일스 호턴(Myles Horton): 하일랜더 센터 공동 설립자[25]
    • 윌리엄 H. 허드넛 3세(William H. Hudnut III): 전 인디애나(Indiana) 인디애나폴리스(Indianapolis) 시장 (1976–1992)[25]
    • 아다 마리아 이사시-디아즈(Ada Maria Isasi-Diaz): 드류 대학교(Drew University) 윤리 및 신학 교수[25]
    • 수잔 존슨 쿡(Suzan Johnson Cook): 전 대통령 고문, 미국 국제 종교 자유 대사(United States Ambassador-at-Large for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2011–2013)[25]
    • 마크 주어겐스마이어(Mark Juergensmeyer):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 캠퍼스 사회학, 종교학, 국제학 교수이자 오르팔레아 글로벌 및 국제 연구 센터 소장[25]
    • 노먼 J. 칸스필드(Norman J. Kansfield): 뉴브런즈윅 신학교 총장 (1993–2005), 드류 대학교 신학교 상주 선임 학자[25]
    • 미네오 카타기리(Mineo Katagiri): 목사이자 사회 운동가[25]
    • 제임스 프랭클린 케이(James Franklin Kay): 프린스턴 신학교(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설교학 및 예배학 교수[25]
    • 어니스트 라이언(Ernest Lyon) (1860–1938): 목사, 전 라이베리아 주재 미국 대사(United States Ambassador to Liberia), 메릴랜드 흑인 청소년 산업 및 농업 연구소(Maryland Industrial and Agricultural Institute for Colored Youths) 설립자[25]
    • 루벤 H. 마컴(Reuben H. Markham): 불가리아 선교 교육자; 기자, 크리스천 사이언스 모니터; 다수의 책 저술[25]
    • 롤로 메이: 실존주의 심리학자[25]
    • 레이첼 콜록 맥도웰(Rachel Kollock McDowell): ''뉴욕 타임스(New York Times)'' 종교 편집자 (1920–1948)[25]
    • 앤드류 맥렐란(Andrew McLellan): 전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장(Moderator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Church of Scotland)[25]
    • 제임스 데이비드 매닝(James David Manning): 할렘의 목사[25]
    • 브루스 맥클로드(Bruce McLeod) (PhD): 캐나다 연합교회 총회장[25]
    • 윌리엄 P. 메릴(William P. Merrill): 교회평화연합(Church Peace Union) 초대 회장, "일어나라, 하나님의 사람들이여(Rise Up, O Men of God)" 작곡가[25]
    • 프레더릭 버클리 뉴웰(Frederick Buckley Newell) (신학 학사, 1916): 미국 감리교회 주교[25]
    • 유니스 블랜차드 포에티그(Eunice Blanchard Poethig) (PhD, 1985): 목사, 미국 장로교회(Presbyterian Church (USA)) 지도자이자 교육자[25]
    • 폴 라우셴부시(Paul Raushenbush): 미국 침례교회 목사, 허핑턴 포스트(The Huffington Post) 종교 편집자[25]
    • 존 번연 리브(John Bunyan Reeve): 최초의 흑인 학생, 하워드 대학교 조직 신학과 설립[25]
    • 스콧 레니(Scott Rennie): 스코틀랜드 교회(Church of Scotland) 애버딘 퀸스 크로스 교회(Queen's Cross Church, Aberdeen) 목사[25]
    • 조셉 L. 로버츠 주니어(Joseph L. Roberts Jr.): 애틀랜타 에베네저 침례교회(Ebenezer Baptist Church) 수석 목사 (1975년-2005년)[25]
    • 제임스 허먼 로빈슨(James Herman Robinson) (1938): 평화봉사단(Peace Corps)의 전신인 오퍼레이션 크로스로드 아프리카 설립자[25]
    • Leroy S. Rouner: 보스턴 대학교 철학, 종교 및 철학 신학 교수[25]
    • 플레밍 러틀리지(Fleming Rutledge): 성공회 사제이자 작가[25]
    • V.C. 사무엘(V.C. Samuel): 인도 기독교 신학자, 철학자, 역사가[25]
    • E. P. 샌더스(E. P. Sanders): 바울에 대한 새로운 관점(New Perspective on Paul) 운동의 주요 창시자 중 한 명[25]
    • 내이선 A. 스콧 주니어(Nathan A. Scott, Jr.): 종교와 문학 학자[25]
    • 헨리 슬론 코핀(Henry Sloane Coffin): 유니온 신학교 총장[25]
    • 윌리엄 게일리 심슨(William Gayley Simpson): 전 국가 시민 자유 국(미국 시민 자유 연합) 부국장[25]
    • 안드레아 스미스(Andrea Smith): 원주민 지식인이자 폭력 반대 운동가[25]
    • 존 성(John Sung): 1920년대와 1930년대 중국 본토, 대만, 동남아시아의 중국인들 사이에서 부흥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 중국 기독교인 복음 전도자[25]
    • 존 스톨텐베르그(John Stoltenberg): 페미니스트 작가[25]
    • 주하논 마르 토마(Juhanon Mar Thoma): 인도 마르토마 시리아 교회 대주교[25]
    • 노먼 토마스(Norman Thomas): 사회주의자[25]
    • K. H. 팅(K. H. Ting): 삼자애국운동(Three-Self Patriotic Movement)과 중국기독교협의회(China Christian Council) 명예 회장[25]
    • 필리스 트라이블(Phyllis Trible) (1932년생): 페미니스트 성서 학자[25]
    • 컨스턴스 코크노워 버추(Constance Cochnower Virtue): 버추 노타그래프(Virtue Notagraph)를 개발한 작곡가[25]
    • 조지 W. 웹버(George W. Webber) (1920–2010): 뉴욕 신학교(New York Theological Seminary) 총장[32]
    • 플로이드 윌콕스(Floyd Wilcox): 시머 대학교(Shimer College) 제3대 총장[25]
    • 델로레스 S. 윌리엄스(Delores S. Williams): 여성주의 신학자[25]
    • 월터 윙크(Walter Wink): 성서 학자이자 운동가[25]
    • 클레미스 아브라함(Clemis Abraham): 전 말랑카라 시리아 크나나야 대교구(Malankara Syriac Knanaya Archdiocese) 대주교 (1951–2002)[25]
    • 사뮤엘 로빈스 브라운[25]
    • 사뮤엘 풀턴[25]
    • 아베 시로[25]
    • 우오키 츄이치[25]
    • 오오키 히데오[25]
    • 사콘 요시[25]
    • 마츠모토 토오루[25]
    • 오츠카 세츠지[25]
    • 고우지 코우헤이[25]
    • 노로 요시오[25]
    • 콘도 주우로[25]
    • 킨죠 시게아키[25]

참조

[1] 웹사이트 U.S. and Canadian 2019 NTSE Participating Institutions Listed by Fiscal Year 2019 Endowment Market Value, and Percentage Change in Market Value from FY18 to FY19 (Revised) https://www.nacubo.o[...] National Association of College and University Business Officers and TIAA 2020-09-25
[2] 문서 NRISref
[3] 웹사이트 Union Theological Seminary http://s-media.nyc.g[...] New York City Landmarks Preservation Commission 1967-11-15
[4] 웹사이트 Mission & Vision https://utsnyc.edu/a[...] 2019-03-15
[5] 서적 Catalogue http://archive.org/d[...] New York 1897
[6] 웹사이트 Timeline, 1836 to 1869 – Union Theological Seminary http://www.utsnyc.ed[...] 2009-10-26
[7] 웹사이트 The Burke Library at Union Theological Seminary | Columbia University Libraries https://library.colu[...]
[8] 서적 A History of Real Estate, Building and Architecture in New York City During the Last Quarter of a Century https://archive.org/[...] Record and Guide 1898
[9] 서적 Seeking a Better Country: 300 Years of American Presbyterianism Presbyterian & Reformed Publishing
[10] 서적 Seeking a Better Country: 300 Years of American Presbyterianism
[11]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auburnsem[...] 2010-01-21
[12] 서적 A Teacher and His Times Scribner 1940
[13] 웹사이트 Serene Jones, President of the Faculty and Roosevelt Professor of Systematic Theology http://www.utsnyc.ed[...] 2009-10-26
[14] 웹사이트 WeAreClimateChange http://www.weareclim[...] 2016-12-18
[15] 웹사이트 Union Theological Seminary trustees endorse divestment from 'companies profiting from the war in Palestine' https://www.columbia[...] 2024-05-10
[16] 웹사이트 RAMSA's Claremont Hall Wraps Up Construction in Morningside Heights, Manhattan https://newyorkyimby[...] 2024-05-14
[17] 웹사이트 Union Theological Seminary buys luxury condos for $24M https://www.crainsne[...] 2024-05-14
[18] 웹사이트 The University Senate https://secretary.co[...]
[19] 서적 Politics and Faith: Reinhold Niebuhr and Paul Tillich at Union Seminary in New York Mercer University Press
[20] 서적 Barcelona, Berlin, New York: 1928-1931 (Dietrich Bonhoeffer Works, Vol. 10) https://www.worldcat[...] Fortress Press
[21] 트윗 I am blessed to announce with my dear... 2021-03-08
[22] 웹사이트 Washington's Jason Wright follows Christ as he becomes NFL's first Black team president https://sportsspectr[...] 2020-09-04
[23] 뉴스 Raymond E. Brown, 70, Dies; A Leading Biblical Scholar https://www.nytimes.[...] 1998-08-11
[24] 웹사이트 Peter Phan https://berkleycente[...] 2017-11-20
[25] 웹사이트 Unitas Awards: Union Theological Seminary https://utsnyc.edu/a[...]
[26] 뉴스 Gets New Church Post https://www.newspape[...] 1955-12-20
[27] 뉴스 Rev. W. Sterling Cary, Pioneering Black Churchman, Dies at 94 https://www.nytimes.[...] 2021-11-19
[28] 서적 Biographical Record of the Alumni of Amherst College, During Its First Half of the Century 1821–1871 https://books.google[...] Amherst College 1883
[29] 서적 When in Romans: An Invitation to Linger with the Gospel According to Paul https://books.google[...] Baker Press 2016-11-15
[30] 웹사이트 Home http://www.davidpgus[...] 2016-12-18
[31] 웹사이트 Who Is Raphael Warnock?: Everything To Know About Ebenezer Baptist Pastor Running For Georgia Senate https://newsone.com/[...] News One 2020-02-01
[32] 뉴스 George W. Webber, Social Activist Minister, Dies at 90 https://www.nytimes.[...] 2010-07-12
[33] 문서 NRISre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